수혈 검사학
지정혈액 (Directed Donation)
병원에서는 환자보호지를 중심으로 헌혈이 이루어지므로 보호자 헌혈 또는 가족 한 혈이라고도 한다.
1. 목 적
어떤 특정 환자에게 수혈할 목적으로 행하는 것을 말하며, 후천성 면역 결림증(AIDS), 각종 간염 등에 수혈로 전파될 수 있음이 언론 등을 통해 일반인에게 알려지자 이리한 예방을 목적으로 지정 헌혈이 이루이지고 있다.
2. 헌혈자 대상
대부분의 지정현현은 수현 받을 환자의 친인이나 친구 등이 대상이 되는데 진 수혈환자의 소수에 불과하며, 수혈 전문가들 또한 수철 감염성 실환의 예방을 목적으 로 지정수혈을 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지 않다. 그 이유는 각종 전염성 질환의 양성 빈 도가 지정 혈액이나 일반 헌철혈액에 있어 커다란 차이가 없음이 보고되고 있기 따른이다. 디만 수혈을 받는 환자의 입장에서는 지정헌혈 혈액이 심리적으로 안성을 존 수 있다는 점이 작용을 하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사항은 일반헌혈이나 지징헌열 구분 없이 헌혈자 스스로가 건강에 끈 제가 있다고 판단된다면 국민건강과 타인긴강을 위해 설대로 헌혈을 하지 말아아 힘 것이다. 지징 헌혈 (directed donation)을 하는 경우, 수혈을 금해야 하는 요인도 있고 반대로 유
용한 경우도 있는데 특히 혈액은행, 헌혈실 관련 병리사는 이러한 점을 반드시 숙지하도록 한다.
3. 지정수혈을 금해야 하는 경우(Medical Contraindications)
1) 임신가능연령(childbearing age)의 부인은 남편이나 남편친족의 혈액을 수혈 받지 않아야 한다.
2) 골수이식 환자(BMT)는 친족의 혈액을 수혈 받지 않아야 한다.
3) 신생아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을 가진 아이는 아버지의 힐액을 수혈 받지 않아야 한다.
4. 지정수혈이 유용한 경우 (Medical Indications)
1) 신생아 동종면역성 혈소판감소증(neonatal isoimmune thrombocytopenia)을 가진 아
제1장 수열을 위한 열자 선택 및 재형터이에게 산모의 혈소판을 준다.
2) 신장이식(renal allograft) 환자에게 친족의 혈억을 투여한다.
3) 혈소판 동종함체(HLA antibodies)를 가진 환자에게 친족의 혈소판을 준다.
4) 직혈구 항체(red cell antibodlies)를 가진 환자에게 친족의 식혈구를 준다.
주의사항
병원의 혈액은행 근무자는 시정헌혈 혈액인 경우 일반헌혈 혈액과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는 운영체제를 만들어 아 한다. 또한 지정헌혈 혈액인 경우의 채혈표시도 별도로 구분된 label을 사용해야 한다.
* 지정 현액의 포지 내용
1 환자이름
12 환자' 특번호 13) 환자의 성빌, 나이
(4) 지정 헌혈자 이른
(5) 헌혈 년월일인
17 지성 혈액의 고유혈액번호 181 검사 결과
직계가족간의 지성헌 현혈액은 수혈 선에 2,504) -- 3,000 raud 정도의 사선 조사를 시켜 임파구의 기능을 억제한 후 수혈을 해야 한다. 지정 헌혈혈액은 반드시 해당 환자에게 수혈되드록 해야 하며 오류가 생기는 경우는 행정직인 문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환자나 보호자에게도 지정수를을 하는 경우는 일반혈액과는 달리 별도의 혈액 김사 비용과 같은 추가 비용이 발생할수 있음을 주지시켜야 한다.
Q : 만아에 환자가 이미 지정 수혈을 위한 혈액을 보관해 두고 있는데 상태가 호전되어 수혈을 받지 않고 퇴원을 한다면 어떻게 하나요?
A : 이러한 경우가 종종 발생을 하는데 혈액은행 남당 불리사는 환지의 주치의와 상의를 하고 주치의는 환자와 협의하여 일반화자에 줄 수 있다. 단, 위와 같이 반드시 협의를 해야 한다. 자가수혈(Autologous Transfusion)
1. 목 적
자가수혈이란 수술이 예정된 환자가 수술 예징일 1개월 전부터 1주일 간격으로 자
신의 혈액을 미리 체혈하어 에치해 두었다가 수술시 수혈받기 위함이다.
'현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디돌대출 신청 및 조건 한도 서류 총정리 (0) | 2022.11.14 |
---|---|
2022 카타르 월드컵 무료 중계 시청 일정 및 조편성 (0) | 2022.11.12 |
댓글